리디 북스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책.
역사에 별로 관심이 없던 나에게 '의사'안중근은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했던 우리의 영웅
이라는 것 외엔 아는게 아무것도 없었다. 이 책을 읽음으로써 안중근'장군' 에 대해 한번더 되새기는
기회가 되었고, 그가 가지고 있었던 '대의'와 '사상'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또한 호부견자(虎父犬子)라 불리는 안중근의 아들 안준생에 대한 얘기도 다루고 있는데,
아버지에 의해 타의적으로 선택된 자신과 가족의 불행한 삶에 대한 비애와 영웅의 아들이기에 겪어야
했던 견디기 힘든 주위사람들의 시선, 대의와 생존 두가지 선택의 갈래에 서있는 모습 등..
단지 민족의 반절자라는 정보외엔 들은 바가 없는 나에게 인간 안준생에 대해 좀더 깊이 알 수 있게
해준 책이었다.
또한, 나도 몰랐던 사실에 대해서도 되짚고 있는데, 지은이는 우리가 '의사' 안중근이라 부르는 것에
대해서 재인식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안중근은 하얼빈에서 독립전쟁을 한 것이지, 개인이 저지른
'테러'가 아님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안중근은 법정에서도 자신은 의병조직인 대한의군 참모중장
으로써 적장을 쏜것이라 거듭 밝혔다는 것을 '안중근 사건 공판 속기록'을 인용하여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 사건을 일으키게 된 명분도 분명했다. 첫째로, 그는 이 사건을 계기로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
시키고 일본이 한국에 대해 저지른 죄상들을 폭로함으로써 국권회복운동에 이바지 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며 둘째는 이토히로부미가 내세운 동양평화론을 통박하면서 진정한 동양평화를 위해서는 우선적
으로 일본의 침략정책을 버려야 마땅하기에 이토 히로부미는 존재 가치가 없다고 판단 해서 였기 때문
이었다. 하지만 일본은 이들의 의도를 간파하고 있었으며, 그 때문에 이토 히로부미 저격사건을
축소 은폐 하여 단순한 개인 살인 범죄로 처리 하였다.
결국, 안중근의 공로는 안중근의 의도와는 다르게 안중근 단독의 테러행위처럼 알려지게 되었고
'의사'라는 칭호도 안중근의 단독 행동을 의미하고 있기 때문에 고쳐 져야 마땅하다고 말하고 있다.
안중근의 동양평화사상은 안중근이 쓴 책 '이토 히로부미의 죄악 15개조', '안응칠 역사', '자전', 그리고
미완성으로 남아있는 '동양평화론'에 나타나 있다고 한다.
지은이는 이토히로부미 저격 사건을 대한의군 특파 독립대가 거둔 '하얼빈 대첩'으로 인식,
명명할 것을 제안 하면서 의사안중근을 안중근장군으로 불러야 마땅하다고 말하고 있다.
'My favorites > Book revi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미와 찔레 - 조동성,김성민 (2) | 2011.11.23 |
---|---|
리딩으로 리드하라 - 이지성 (0) | 2011.06.14 |